라벨이 연금수령인 게시물 표시

연금계좌 총정리: 연금저축계좌 VS. IRP 계좌, 공통점, 차이점, 장점과 단점, 세금공제, 연금수령방법

이미지
  국내 연금계좌는 크게 '연금저축계좌'와 'IRP 계좌' 두 개로 나눌 수 있습니다. 이름이 다르니, 당연히 차이점이 있겠죠? 둘 다 연금계좌이니까, 공통점도 있습니다.  연금저축과 IRP, 공통점, 차이점, 쓰임새, 장점, 단점 모두, 알기쉽게 요약 해 보겠습니다.   [읽어보면 도움되는 관련글] ISA 계좌개설 장단점 - 연령대별 가입 및 활용 방법 휴먼환급금 조회 및 신청방법 - 개인 소득세 미수령 환급금 받는 방법 채권투자 방법 (개별 채권 VS 채권 ETF) - 장단점 비교 연금계좌란 무엇인가요? : 노후를 위한 효율적인 금융 수단 연금계좌는 크게 두가지, '연금저축' 과 'IRP' 로 나뉘어 집니다.  연금저축은 자유롭게 계좌를 개설하여 펀드를 선택하고 자금을 모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.  IRP는 소득이 있는 사람이라면, 누구나 개설할 수 있으며, 퇴직금과 개인 저축을 하나의 계좌에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 연금계좌는 어떻게 개설하나요? : 계좌개설 방법 및 입금한도 연금저축계좌, IRP (개인형퇴직연금)계좌 모두, 은행과 증권사에서 계좌개설이 가능 합니다. 비대면계좌개설 방식을 선택시, 스마트폰으로 개설이 가능합니다. 1년 입금한도는 두 계좌 합쳐서 1800만원입니다. 계좌의 개수와 상관없이 총 입금한도는 1800만원 입니다.  세액 공제 금액은 얼마인가요? : 세액공제 대상 금액과 계산방법 연금저축은 600만원까지 입금할 경우, 세액공제 대상 금액에 해당됩니다. 반면, IRP 는 900만원까지 세금공제에 해당되나, 연금저축에 들어간 금액이 포함 됩니다.  예를 들어, 연금저축에 500만원을 넣었다면, IRP에 넣고 세금혜택을 받을 수 있는 ...